게시판입니다.
제 목 | 접합부 일체형 복합방수공법 등 3건, 3월 건설신기술로 지정 |
---|---|
작성자 | RICON |
날 짜 | 2017-03-31 08:49:11 |
첨부파일 | 170329(조간) 접합부 일체형 복합방수공법 등 3건_3월 건설신기술로 지정(기술정책과).hwp |
내 용 |
접합부 일체형 복합방수공법 등 3건, 3월 건설신기술로 지정 - 구조물 안전·시공성 대폭 향상·효율적 품질관리…적극 활용 권장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건축물을 방수 시공할 때 접합부에 물이 새는 문제를 막는 “액상형 도막재를 적용한 복합방수공법” 등 3건을 ’3월의 건설신기술‘로 지정(제811호, 제812호, 제813호)했다. • 제811호 신기술(“재활용 폴리에스터 테이프가 삽입 고정되어 있는 개량형 폴리복합시트를 접합부에 일체형으로 결합한 액상형 도막재를 적용한 복합방수공법”)은 건축물의 방수 시공 시 접합부 처리의 어려움과 접합부 하자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공법이다. • 건축물 방수시공은 건축물의 이용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동안 방수시트 접합부 분리, 습기로 인한 결로 및 부식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 이번 신기술은 방수기능을 하는 폴리복합시트에 접착기능을 하는 폴리에스터 테이프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시트와 시트를 접합하고, 시트와 시트 간 공기이동이 가능한 에어 써쿨레이션 벨트(Air Circulation Belt)를 설치하여 습기제거가 가능한 공법이다 • 이번 신기술은 별도의 결합재를 사용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품질이 향상되어 향후 건축물의 방수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제812호 신기술(“공장에서 제작된 프리텐션 콘크리트 복부 부재와 노듈 부재를 이용한 급속시공 PSC 박스 거더 교량공법(Nodular Girder)”)은 공장에서 제작된 블록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PSC* 박스거더 교량 시공 시 발생하는 시공 정밀도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공법이다. * PSC(Pre-Stressed Concrete) : 콘크리트의 인장력 발생 부분에 미리 압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서, 균열발생 방지, 부재단면 축소 등 효과가 있음
• 기존 교량 시공시에는 거더*를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제작하여 교각에 거치 후 하나하나씩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하였으나 연결부위 관리 등 시공 등에 어려움이 많았다. * 거더 : 교량의 상부구조물로서 빔(beam), 플레이트(plate) 등으로 구분 ** 교량 박스 거더를 일정 길이로 분할하여 제작한 구조물임 • 이번 신기술은 PSC 박스 거더 시공 시 부재를 세분화하여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을 완료한 후 교각에 거치시키는 공법으로서, 기존 공법에 비해 품질관리 및 시공성 향상 등 효과가 뛰어나 교량시공 등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제813호 신기술(“격자형 배수네트 부착형 복합 배수재 적용 터널 배수시스템 공법”)은 터널에서 지하수 배수처리 용량 부족으로 발생하는 구조물 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공법이다. • 터널 시공 시 지하수 배출을 위해 원지반과 라이닝 콘크리트(터널 표면 콘크리트) 사이에 부직포를 설치하는데, 지하수 배출량이 많을 경우 배수장애 등으로 인한 결빙, 터널표면 균열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 이번 신기술은 배수네트 양면에 부직포를 접합한 새로운 형태의 배수재(부직포+배수네트+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부직포만 시공하는 기존 공법에 비해 배수처리 용량이 증가하여, 지하수 유입이 많은 터널 등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건설신기술 지정 제도는 건설 기술 경쟁력 강화 및 민간의 기술개발 투자 유도를 위해 기존 기술을 개량하거나 새롭게 개발된 기술을 국토교통부 장관이 신기술로 지정하는 제도이다. 신기술로 지정될 경우 건설공사에 활용토록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으며, `89년부터 현재까지(`17년 2월 말) 813개의 건설신기술이 지정됐다. • 이번에 지정된 신기술에 대한 자세한 기술내용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누리집(http://www.kaia.re.kr) ‘지식-건설신기술현황-사이버전시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상세 정보
성 명 | |
---|---|
직 위 | |
소 속 | |
연락처 | |
이메일 | |
연구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