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상황에 대한 분석체계를 구축하여 전문건설업계에 적시성 있는 시장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책당국에는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제 목 | 2018년 3월 전문건설업(SC) 경기실사지수(BSI) |
---|---|
작성자 | RICON |
날 짜 | 2018-04-06 15:48:47 |
첨부파일 | 2018_3월 전문건설 경기실사지수(SC-BSI)_20180406.pdf |
내 용 |
▣ 연구과제: 2018년 2월 전문건설업(SC) 경기실사지수(BSI) ▣ 작성자: 이은형 책임연구원 ▣ 보고서 내용요약(전문은 첨부화일을 참조) ○ 2018년 3월 전문건설업 경기평가 및 2018년 4월 전망 • 3월의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는 전월에 이어 상승 -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는 전월(75.3)에 이어 더욱 상승한 85.3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 4월에는 금월보다 더욱 개선될 것으로 전망(93.2)됨. 통상 건설공사의 성수기가 이맘때부터라는 점을 감안하면 차월의 전망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음 -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86.7(79.4→86.7), 지방은 84.8(74.3→84.8)으로 전월보다 개선됨. 그리고 다음 3월에도 수도권과 지방 모두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전문건설업 조사항목별 경기평가 및 전망 • 공사수주지수 (원도급, 하도급) - 공사수주지수는 전월에 이어 원도급과 하도급 모두 상승 - 공사수주 경기실사지수는 원도급은 89.3(70.0→89.3), 하도급은 74.0(60.6→74.0)으로 집계됨으로써 금년 들어 꾸준한 상승세를 지속함. 차월의 전망치는 원도급은 금월과 유사, 하도급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나타남. - 지역별로 보면 원도급 공사수주지수는 수도권(73.5→84.4)은 전월보다 높아졌으며 지방(69.1→90.9)에서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임. 하도급 공사수주지수도 수도권(64.7→73.3)과 지방(59.6→90.9) 모두 큰 폭으로 상승함. ○ 자금관련지수 (공사대금수금, 자금조달) • 공사대금수금지수와 자금조달지수는 모두 상승 - 공사대금수금 경기실사지수는 전월보다 높은 78.5(71.2→78.5)로, 자금조달 경기실사지수도 크게 상승한 76.3(68.8→76.3)로 조사됨. 전자의 경우작년 하반기부터의 지속된 하락추세가 금월에 꺾인 것임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 - 공사대금수금지수를 수도권(85.3→91.1)과 지방(67.6→74.2)에서 모두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 자금조달지수는 수도권(76.5→75.6)은 전월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방(66.9→76.5)에서는 크게 개선됨. ○ 인건비지수 • 인건비지수는 전월과 유사 - 인건비 경기실사지수는 전월과 사실상 동일한 59.3(59.4→59.3)로 조사됨. 따라서 전월과 마찬가지로 전년 동시기보다 소폭 개선된 결과이지만, 여전히 인건비지수의 수준이 타 지수에 비해 현저하게 낮다는 점을 직시할 필요가 있음. - 지역별로는 수도권(50.0→55.6)은 전월보다 소폭 상승, 지방(61.8→60.6)은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보임. 이는 지역별·시기적으로 기능인력의 수요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임. ○ 자재수급지수 • 자재수급지수는 전월보다 하락 - 자재수급 경기실사지수는 전월보다 소폭 하락한 97.7(104.1→97.7)로 나타났지만, 이는 건설현장에서의 긴박한 자재수급문제를 의미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볼 수 있음. 물론 자재별로 차이는 있지만 작년과 달리 철근 등 주요 건설자재의 조달과 수급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짐 -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97.1→95.6)은 소폭 하락한 것으로, 지방(105.9→98.5)도 전월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남. ○ 장비수급지수는 전월보다 하락 - 장비수급지수는 전월보다 하락한 101.1(110.0→101.1)로 나타났으나, 이는 건설공사가 차츰 본격화되기 시작하는 시점 등을 감안하면 지역적인 수요에 따른 일시적인 결과로 보더라도 무방할 것임. - 지역별로는 수도권(102.9→102.2)은 전월과 유사, 지방(111.8→100.8)은 다소 하락한 것으로 조사됨. |
상세 정보
성 명 | |
---|---|
직 위 | |
소 속 | |
연락처 | |
이메일 | |
연구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