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상황에 대한 분석체계를 구축하여 전문건설업계에 적시성 있는 시장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책당국에는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제 목 | 2017년 8월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SC BSI) |
---|---|
작성자 | RICON |
날 짜 | 2017-09-01 14:00:29 |
첨부파일 | 2017년 8월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SC BSI).pdf |
내 용 |
▣ 연구과제: 2017년 8월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SC BSI) ▣ 작성자: 이은형 책임연구원 ▣ 보고서 내용요약(전문은 첨부화일을 참조) ○ 2017년 8월 전문건설업 경기평가 및 9월 전망 •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는 금월보다 차월의 호조가 기대 - 8월의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는 전월에 비해 소폭인 0.3p, 기존 전망치보다는 3.7p 높은 65.0로 나타남. 하지만 이보다는 다음 9월에 대한 예상치가 최근 4년간 가장 높은 수준인 77.2로 나타난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음. 이는 작년에 이은 금년 상반기의 건설수주량 증가 등에 따른 전문건설업체들의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 하지만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전월보다 무려 13.7p 하락한 67.4를 나타낸 반면 지방권은 오히려 4.9p 상승한 64.2로 조사됨. ○ 전문건설업 조사항목별 경기평가 및 전망 • 공사수주지수 (원도급, 하도급) - 공사수주지수는 수도권은 크게 하락, 지방권은 상승 - 공사수주 경기실사지수는 전월에 비해 원도급은 1.6p 오른 58.3, 하도급은 1.8p 높은 57.8로 조사됨. 하지만 지역별로 살펴보면 원도급과 하도급 모두 수도권에서는 큰 폭의 하락을, 지방에서는 상승을 나타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원도급 공사수주지수는 수도권(81.1→65.1)이 크게 하락한 반면 지방(48.7→56.2)은 상승세를 나타냄. 하도급 공사수주지수도 수도권(70.3→58.1)은 큰 폭의 하락을 보인 반면, 지방(51.3→57.7)에서는 상승세를 보임. ○ 자금관련지수 (공사대금수금, 자금조달) • 공사대금수금지수는 하락, 자금조달지수는 전월과 유사 - 공사대금수금 경기실사지수는 전월보다 4.7p 낮은 73.3, 자금조달 경기실사지수는 전월과 유사한 68.3으로 나타남. - 공사대금수금지수를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89.2→74.4)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지방(74.3→73.0)은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 - 이와 비슷하게 자금조달지수도 수도권(70.3→67.4)은 다소 하락한 반면, 지방(65.5→68.6)은 소폭의 상승세를 나타냄. ○ 인건비지수 • 인건비지수는 전월에 이어 상승 - 인건비 경기실사지수는 전월보다 1.6p 높아진 55.6으로 최근 4개월간 지속적으로 상승함.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인건비 문제가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업체가 전무했다는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음. -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45.9→48.8)은 전월보다 소폭 상승, 지방(56.6→57.7)도 마찬가지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자재수급지수 • 자재수급지수는 2개월째 하락 - 자재수급 경기실사지수는 2개월 연속으로 하락한 99.4(107.7→100.7→99.4)로 조사됨. 차월전망은 104.4로 반등할 것으로 집계되었지만 여전히 수도권의 자재수급문제는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월과 동일하게 수도권(86.5→88.4)의 자재수급문제가 지방(105.3→102.9)에 비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 건설장비수급지수 • 장비수급지수는 전월보다 크게 하락 - 장비수급지수는 전월보다 4.6p 높아진 110.6(106.0→110.6)로 나타났으며, 다음 9월은 금월보다 더욱 상승한 110.6으로 전망됨. 이같은 결과는 최근 건설공사의 주요 공종이 기존의 골조에서 마감공사분야로 바뀌는 추세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음. - 실제로 건설현장에서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진 자재들은 골조용 레미콘 및 철강재, 마감용 석고보드 등임. 이들의 경우에는 시공과정에서 규모 있는 건설장비 등이 요구되지 않기에 종전에 비해 장비수급문제가 부각되지 않을 수 있음. -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91.9→102.3)의 장비수급지수가 크게 상승했으며 지방(110.6→113.1)도 전월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상세 정보
성 명 | |
---|---|
직 위 | |
소 속 | |
연락처 | |
이메일 | |
연구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