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상황에 대한 분석체계를 구축하여 전문건설업계에 적시성 있는 시장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책당국에는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제 목 | 2017년 9월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SC BSI) |
---|---|
작성자 | RICON |
날 짜 | 2017-10-12 09:00:14 |
첨부파일 | 2017년 9월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SC BSI).pdf |
내 용 |
▣ 연구과제: 2017년 9월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SC BSI) ▣ 작성자: 이은형 책임연구원 ▣ 보고서 내용요약(전문은 첨부화일을 참조) ○ 2017년 9월 전문건설업 경기평가 및 10월 전망 • 9월의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는 8월보다 8.1p 상승 - 9월의 전문건설업 경기실사지수는 전월보다 8.1p 높은 73.1로 조사됨. 이는 기존의 전망치인 77.2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금년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의 조사치로서 전월과 동일하게, 건설업의 호황을 기록한 전년과 금년 상반기의 건설수주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음. -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과 지방이 모두 전월보다 상승한 81.1(67.4→81.1)과 71.0(64.2→71.0)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10월에도 유사한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 ○ 전문건설업 조사항목별 경기평가 및 전망 • 공사수주지수 (원도급, 하도급) - 공사수주지수는 원도급과 하도급 모두 전월보다 소폭 상승 - 공사수주 경기실사지수는 8월보다 원도급은 1.7p 오른 60.0, 하도급은 2.2p 높은 60.0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됨. 지역별로는 원도급은 수도권과 지방에서 모두 큰 폭의 상승을 보였으며, 하도급은 수도권과 지방에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냄. - 원도급 공사수주지수는 수도권(65.1→78.4)은 크게 상승했으며 지방(56.2→55.1)은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보임. 이와 동일하게 하도급 공사수주지수도 수도권(58.1→64.9)에서는 상승했으며 지방(57.7→58.7)은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 ○ 자금관련지수 (공사대금수금, 자금조달) • 공사대금수금지수는 상승, 자금조달지수도 상승 - 공사대금수금 경기실사지수는 8월보다 12.4p 높은 85.7로, 자금조달 경기실사지수는 7.1p가 높은 75.4로 나타남. - 공사대금수금지수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74.4→91.9)은 전월에 비해 큰 폭의 상승을, 지방(73.0→84.1)도 전월보다 크게 상승함. - 마찬가지로 자금조달지수도 수도권(67.4→78.4)은 전월에 비해 큰 폭의 상승을, 지방(68.6→74.6)도 전월보다 크게 높아짐. ○ 인건비지수 • 인건비지수는 지난 8월보다 상승 - 인건비 경기실사지수는 8월보다 4.4p 높은 60.0으로 최근 4개월간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임.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건설현장에서 높아진 인건비에 대한 인식이 통상적인 수준으로 고착화된 것으로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임. -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48.8→51.4)과 지방(57.7→62.3)에서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자재수급지수 • 자재수급지수는 전월과 유사한 수준 - 자재수급 경기실사지수는 지난 8월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비교적 유사한 98.9(99.4→98.9)로 나타남. 동 지수는 지난 3분기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다음 10월에는 다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88.4→97.3)에서는 전월보다 상승, 지방(102.9→99.3)은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 건설장비수급지수 • 장비수급지수는 전월과 유사 - 장비수급지수는 지난 8월과 유사한 110.9(110.6→110.9)로 조사되었으며 다음 10월에는 이보다 소폭 하락한 106.3으로 전망됨. 이같은 결과는 전월과 동일하게 최근 마감공사가 건설공사의 주요 공종으로 자리잡는 추세 등에 평가할 수 있음. - 중장비를 필요로 하는 전문건설업종은 주로 토공사업 등에 집중되어 있음. 따라서 신규공사가 대량으로 착공되면서 이에 따른 수요가 단기에 급증하지 않는 이상 건설장비의 수급문제가 크게 부각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102.3→113.5)의 장비수급지수가 크게 상승한 반면 지방(113.1→110.1)은 전월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
상세 정보
성 명 | |
---|---|
직 위 | |
소 속 | |
연락처 | |
이메일 | |
연구분야 |